소방

백드래프트의 대응전술

Para-Medic 2018. 12. 9. 03:00
반응형

백드래프트의 대응전술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백드래프트를 방지하거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3가지 전술에는 배연(환기)법, 급냉법, 측면공격법이 있습니다.

-배연(지붕환기)법: 연소중인 건물 지붕 채광창을 개방하여 환시시키는 것은 백드래프트의 위험으로부터 소방관을 보호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상황이 허락된다면 지붕에 개구부를 만들어 환기한다. 비록 백드래프트에 의한 폭발이 일어나더라도 대부분의 폭발력이 위로 분산 될 것입니다.

-급냉법: 화재가 발생된 밀폐 공간의 출입구에 완벽한 보호 장비를 갖춘 집중 방수팀을 배치하고 출입구를 개방하는 즉시 바로 방수함으로써 폭발직전의 기류를 급냉시키는 방법입니다. 이와같은 집중 방수의 부가적인 효과는 일산화탄소 증기운의 농도를 폭발하한계 이하로 떨어뜨리는 것이다. 이 방법은 배연법 만큼 효과적이지 않지만, 이것이 유일한 방안인 경우가 많습니다.

-측면공격법: 이것은 화재가 발생된 밀폐 공간의 개구부(출입구, 또는 창문) 인근에서 이용 가능한 벽 뒤에 숨어 있다가 출입구가 개방되자마자 개구부입구를 측면 공격하고 화재공간에 집중 방수함으로써 백드래프트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소방관들은 다음과 같은 백드래프트 현상의 징후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닫힌 문 주위에서 나오고 무겁고 검은 연기는 가장 쉽게 확인 할수 있는 전조현상 중 하나 입니다.

-또 하나는 공기흐름의 이상조짐으로 개구부(출입문 , 창문) 틈새로 빨려 들어오는 공기의 영향으로 연기가 건물 내로 되돌아오거나 맴도는 현상이 관찰됩니다.

-창문에 농연 응축물(검은색액채)이 흘러내리거나 얼룩이 진 자국이 관찰됩니다.

-화재압력에 의한 내부 외부 압력차로 외부공기가 빨려 들어오면서 발생되는 휘파함 소리 또는 진동이 발생되는 현상 등이 백드래프트의 징후로 볼수 있습니다.

백드래프트현상에 의한 폭발은 소방관들이 대피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빠르게 완결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진정으로 유일한 보호책은 완전한 보호 장비를 갖추는 것입니다. 헬멧, 장갑, 구조화, 방화복, 공기호흡기 마스크는 대피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으나 소방관의 생존가능성과 부상정도를 결정하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