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화재 입니다.
화재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합시다.
1.화재의 개념
화재란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 을 말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첫째, 화재발생이 사람의 의도에 반한다, 라고 하는 것은 과실에 의한 화재를 의마하며, 화재취급 중 발생하는 실화뿐만 아니라 부작위에 위한 자연발화도 포함된다. 또한 고의에 의한다 라고 하는것은 일정한 대상에 대하여 피해발생을 목적으로 화재발생을 유도하였거나 직접 방화한 경우를 말한다. 둘째, 연소현상으로서 라고 하는 것은 가연성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여 열과 빛을 내며 급속히 산화되어 형질이 변경되는 화학반응을 말한다. 셋째,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다 라고 하는 것은 화재란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의 필요성이 있어야 하며 소화의 필요성 정도는 소화시설이나 그와 유사한 정도의 시설을 사용할 수준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휴지나 쓰레기를 소각하는 것과 같이 자산가치의 손실이 없고 자연히 소화될 것이 분명하여 소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거나 설령 소화의 필요성이 있다고 하여도 소화시설이나 소화장비 또는 간이 소화용구 등을 활용하여 진화할 필요가 없는 것은 화재로 볼 수 없다. 또한, 일반적인 연소현상과 구분되는 가스폭발 등의 화하적 폭발현상을 화재의 범주에 포함하고 보일러 파열 등의 물리적 폭발은 화재로 취급하지 않으며, 폭발의 경우는 연소현상과 소화의 필요에 상관없이 사람의 의도에 반하여 발생한 것만을 화재라고 한다.
2.화재의유형
화재는 소화 적응성, 화재의 처종, 화재의 소실정도, 화재 피해규모, 긴급상황보고 여부등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 될수 있다.
1)소화적응성에 따른 분류
소화 적응성에 따라서 일반화재, 유류화재, 전기화재, 금속화재, 가스화재로 분류 된다.
일반화재: 목재, 섬유, 고무, 플라스틱 등과 같은 일반 가연물의 화재를 말한다. 발생빈도나 피해액이 가장 큰 화재이다. 일반화재에 대한 소화기의 적응화재별 표시는 A 로 한다.
유류화재: 인화성액체(4류 위험물), 1종 가연물(락카퍼티, 고무풀), 2종 가연물(고체파라핀, 송진)이나 페인트 등의 화재를 말한다. 유류화재에 대한 소화기의 적응화재별 표시는 B로 표시한다.
전기화재: 전류가 흐르고 있는 전기설비에서 불이 난 경우의 화재를 말한다. 전기화재에 대한 소화기의 적응화재별 표시는 C로 표시한다.
금속화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과 같은 가연성 금속의 화재를 말한다. 금속화재에 대한 소화기의 적응화재별 표시는 D로 표시하고 있으나 현재 국내의 규정에는 없다.
가스화재: 메탄, 에탄, 프로판, 암모니아, 아세틸렌, 수소 등의 가연성 가스의 화재를 말한다. 가스화재에 대한 소화기의 적응화재별 표시는 국제적으로 E로 표시하고 있으나 현재 국내에서는 유류화재에 준하여 사용하고 있다.
2)화재의 처종에 따른 분류
화재가 발생한 처종에 따라 건축,구조물 화재, 자동차,철도차량 화재, 위험물,가스제조소 등 화재, 선박,항공기 화재, 임야화재, 기타 화재로 분류되고 있다.
3)소실 정도에 따른 분류
-전소: 건물이 70% 이상 소실 되었거나 그 미만이라도 잔존부분에 보수를 하여도 재사용이 불가능한 화재를 말한다.
-반소: 건물이 30%이상 70%미만이 소실된 화재를 말한다.
-부분소: 전소 또는 반소 화재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화재를 말한다.
4)긴급 상황보고 여부에 따른 분류
-대형화재: 인명피해가 사망 5명이거나 사상자 10명이상 발생화재 또는 재산피해 50억원 이상 추정되는 화재를 말한다.
-중요화재: 관공서, 학교, 정부미도정공장, 문화재, 지하철, 지하구 등 공공건물 및 시설의 화재와 관광호텔, 고층건물, 지하상가, 시장, 백화점, 대량위험물을 제조,저장, 취급하는장소, 대형화재취약대상 및 화재경계지구의 화재, 그리고 이재민 100명 이상 발생화재를 말한다.
특수화재: 철도, 항구에 매어둔 외항선, 항공기, 발전소 및 변전소의 화재와 특수사소, 방화 등 화재원인이 특이하다고 인정되는 화재, 그리고 외국공관 및 그 사택의 화재, 기타 대상이 특수하여 사회적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는 화재를 말한다.
5)화재원인에 따른 분류
발화 원인에 따라서 실화, 방화, 자연발화,천재발화,원인불명으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