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

소방시설 쉽게 알아봅시다.

반응형

일반적인 소방시설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제1절. 소방시설의 종류
1. 개요
소방시설의 종류에는 크게 5가지로 분류된다. 화재 발생에서부터 소화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연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화재 발생 시 일반적 조치사항
-경보(사람 또는 기계/전기 설비에 의한 화재 사실 전파한다)
-피난(소화와 동시에 피난을 하며, 소화 불가능 시 최후의 수단은 피난이다)
-소화활동설비(일정 시간 경과 후 소방대가 도착할 것이며, 이때는 소방관에 의한 제연설비,연결송수관 등 소화 설비가 필요하다.)
-소화용수설비(소방차에 확보된 수원의 양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일정 지역이나 건축물마다 장시간 소화활동에 필요한 소방용수가 필요하다.)
2. 소방시설의 종류
가. 경보 설비:화재 사실을 알리는 설비이다.
-비상경보 설비, 자동 화재탐지설비, 비상방송설비, 시각경보기 등이 있다.
나. 소화 설비:화재를 진압하는 설비이다.
-수계소화 설비: 옥내소화전,스프링클러설비,물분무소화설비,포분무소화설비 등이 있다
-가스계 소화 설비:하론, 이산화탄소, 청정소화약제 소화 설비 등이 있다.
다. 피난설비:건축물 내에서 피난을 위한 설비이다.
-구조대, 완강기, 피난 교, 피난 트랩, 미끄럼대, 다시 핀 피난장비 등이 있다.
라. 소화활동설비:확대 화재 이후 소방관의 소사 활동에 필요한 설비이다.
-연결 송수관 설비, 제 연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비상 콘센트 설비, 연결 살수설비 등이 있다.
마. 소화용수설비:대부분 화재현장에서 부족한 수원을 확보하기 위한 설비이다.
-소화수조, 소화전 등이 있다.

제2절 화재의 분류
1. 개요
화재는 가연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연소되는 형태도 각각 다르다. 그러나 우리가 주위에서 전기, 가스, 목재, 유류화재 등을 쉽게 볼 수 있듯이 화재 분유에 있어서도 상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화재를 분류하는 목적은 소화에 대한 적응성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며, 국가마다 약간씩 다르게 분류하고 있다.
국내 화재 분류
A-나무, 옷, 종이, 고무 등의 일반 가연물이 이에 포함된다.
B-인화성액체, 가스 등의 유류화재가 포함된다.
C-통전 중인 전기등에서 발생한 화재이다
미국방화협회
A-나무, 옷, 종이, 고무 등의 일반 가연물의 화재이다.
B-인화성액체, 가스 등의 유류화재가 포함된다.
C-통전 중인 전기 등에서 발생한 화재이다
D-Mg, Na, K 등의 금속성 화재이다
K-가연성 튀김기름을 포함한 조리로 인한 화재이다.
국제표준화기구
A-연소 시 불꽃을 발생시키는 유기물질, 고체물질 화재이다
B-액체 또는 액화하는 고체로 인한 화재이다.
C-가스로 인한 화재
D-금속으로 인한 화재
F-가연성 튀김기름을 포함한 조리로 인한 화재이다.
나. 화재 분유의 요약
1) 일반화재:타고 나서 재가 남는 화재이다.-A(보통 화재용)
2) 유류화재:타고 나서 재가 남지 않는 화재이다.-B(유류화재용)
3) 전기화재:전기 시설에서의 화재이다.-C(전기화재용)
화재는 A급에서부터 K 급에 이르기까지 화재의 성상이나 형태 등 특성을 고려하여 위와 같이 분류하고 있으며, 일반인도 쉽게 이해하도록 문자와 색깔로 표시하고 있다.
다.외국의 화재 분류 특이사항
1) 국제표준기구에서는 가스화재를 C급 화재로 분류하고 있으며,Mg, Na, K 등의 금속성 물질은 연소 시 폭발 성질을 가지므로 금속화재로 분류하고 있다.
2) 가연성 튀김기름을 포함한 식용유 등은 화재양상과 소화방법이 일반 가연물과는 다르기 때문에 F, K 급 화재로 구분하고 있다. 식용유는 발화온도가 288~385C 로서 발화점과 인화점의 차이가 작아서 유면 이상의 화염을 제거하여도 기름의 온도가 발화점 이상이기 때문에 쉽게 재발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분말소화약제 중에서도 비누화 효과가 있는 1종 소화 분말 약제만이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

 

다음 글에서는 연소와 소화원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재성상 파악해보기  (0) 2018.12.07
이것이 화재 입니다.  (0) 2018.12.07
소화기구란 무엇인가?  (0) 2018.12.06
소방을 이해해봅시다.  (0) 2018.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