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은 소화기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1.자동식 소화기
자동식소화기는 모든 아파트의 각 세대별 주방 등에 설치하며, 가스가 누설될 경우에는 누설가스를 탐지하여 자동경보를 하고, 수신반에 가스누설표시등을 점등하며, 가스밸브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의 열을 감지하여 가스밸브를 차단하고 소화약제를 자동방출 하여 소화한다. 그러나 가스만 누설될 경우에는 경보와 차단밸브를 작동시키나 소화약제는 방출되지 않는다.
가.자동식 소화기의 구성요소
1)소화약제 방출구
방출구는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부분으로서 환기구의 청소부분과 분리하여 설치하고 가스사용장소의 중앙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별도로 형식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그 성능 인정범위 내에 설치 할수 있다.
2)감지부
화재시 열을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 감지부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가 부착되어 있으며, 1차 온도에서는 경보와 가스를 차단하고 2차 온도에서 소화약제가 방출되로록 한다.
3)가스누설 자동 차단장치
가스가 누설되거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가스배관에 설치된 밸브를 구동력으로 자동차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주방배관의 개폐밸브로부터 2M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확인.점검이 가능하도록 설치 하여야 한다.
4)탐지부
가스누설을 탐지하는 장치를 말한다. 가스가 누설되면 이를 탐지하여 수신부에 신호를 보내고, 경보가 울리며, 수신부에는 가스누설표시등이 점등된다. 가스탐지부는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바닥면으로부터 30cm 이하에,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천장면으로부터 30cm이하에 설치하여야 한다.
5)수신부
자동화재화재설비의 수신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 크기가 작으며 화재표시등, 가스누설표시등, 경보정지, 가스누설 차단장치 수동개방, 복구, 전원표시등이 있다.
6)소화용기
소량의 약제를 가진 간이형 용구가 설치되며, 주로 3종 A/B/C 급 분말소화약제가 사용된다.
나.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원리
1)가스누설시
가스누출-탐지-수신부 경보-가스차단밸브 닫힘
2)화재시
화재-1차온도 감지-가스차단밸브 닫힘-2차온도 감지-소화약제 방출
2.자동확산소화용구
소량의 소화약제와 가압가스를 작은 항아리 모양의 용기에 충약하고, 고화기 방출구가 화재의 열에 의해 용융되어 개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음식점의 주방과 보일러실의 상단부 등에 설치하며, 용도와 면적에 따라 산정된 분말소화기외 자동확산소화용구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한다.
가.자동확산소화용구 구조 및 작동원리
1)구조: 외형은 다르나 구조는 축압식 분말소화기와 같다.
2)감지부:용융금속으로서 약 72도 정도의 화열에 의하여 자동개방 된다.
3)경보: 천정이나 반자에 설치되어 압력확인이 곤람함으로 압력미달시 경보음이 울린다.
4)설치대상: 자동소화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주방, 보일러실, 건조실 등 화재발생 우려가 있는 화기의 상부에 설치한다.
나.자동확산소화용구 설치시 유의점
자동확산소화용구는 화기의 상부에 설치하여 화재시 초기진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화재안전기준상 면적에 따라 일정개수 이상 설치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적정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동확산소화용구는 화기 상부에 설치하여 화재시 초기에 소화될 수 있도록 적정위치를 잘 판단하여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시간에는 옥내소화전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재성상 파악해보기 (0) | 2018.12.07 |
---|---|
이것이 화재 입니다. (0) | 2018.12.07 |
소방을 이해해봅시다. (0) | 2018.12.06 |
소방시설 쉽게 알아봅시다. (0) | 2018.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