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

플래시오버 현상을 알아봅시다.

반응형

 

 

 

플래시오버 현상에 대하여 파악하여 봅시다.

 

 

 

 

플래시오버현상이란 

화점 주위에서 

화재가 서서히 진행하다가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류와 복사현상에 의해 일정 공간 안에 있는 

가연물이 발화점까지 가열되어 일순간에 걸쳐 동시 발화되는 현상을 말하며, 

 

직접적 발생원인은 

자기발화가 일어나고 있는 연소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의 재방출에 의해 열이 집적되어 온도가 상승하면서 

전체 공간을 순식간에 화염으로 가득 차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열의 집적이 계속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므로 

계속적인 방수와 배연을 통해 

화재공간을 냉각시켜야 이 현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플래시오버의 징후와 특징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징후

-고온의 연기 발생

 

-rollover 현상이 관찰됨

 

-일정공간 내에서의 전면적인 자유연소

 

-일정공간 내에서의 계속적인 열집적

 

-투텁고 뜨겁고 진한 연기가 아래로 쌓임

 

 

플래오버의 특징으로는 

실내 모든 가연물의 동시발화현상이 일어나며 

바닥에서 천정까지 고온상태가 됩니다.

 

 

 

*목조건축물에서의 플래시오버현상은

 보통 화재발생으로부터 5-6분 경에 발생(공간면적과 가연물에 따라 다름) 되며, 

이때 실내온도는 800-900 도 정도가 됩니다.

 

 

*내화조 건축물 화재시에는 

실내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연소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플래시오버현상은 보통 화재발생으로부터 

약 20-30분경에 발생(공간면적과 가연물에 따라 다름)합니다.

 

 

*플래시오버 대응전술은 

플래시오버는 화재가 성장기에서 최성기로 접어들었음을 나타내며 

화재의 생애주기 중 가장 위험한 구간입니다. 

 

 

열의 재방출로 발생되는 

플래시오버현상은 연기와 열이 화염으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화세가 성장함에 따라 발생한 에너지는 공간의 윗부분으로 흡수되며,

 이는 연소가스를 가열하면서 자동점화가 가능할 정도의 온도까지 열이 가해집니다.

 

 강의실 화재를 예를 들어보면 

화염에 의해 책상과 의자들이 전면적인 자유연소를 시작하면 

공간 내에 제한되어 있는 연기와 열은 천장 근처에 쌓이기 시작하며 

점차적으로 바닥으로 하강 이동하는 현상이 반복됩니다.

 

이와같은 열과 연기의 재방출 피드백은 

연소가스의 온도를 높이며 전체 공간은 순식간에 화염으로 가득차게 됩니다. 

플래시오버는 모든 화재에서 발생하지는 않지만 

건축물 화재에서 종종 발생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합니다. 

 

플래시오버 현상이 발생한 경우 그 공간에서의 효과적인 검색구조 작업은 할 수 없으며, 

요구조자 또는 소방관이 그 공간에 고립되어 있다는 것은 이미 사망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플래시오버가 발생하면 

이동식 소화기로 화재를 진압하는 것은 불가능 해지며 

관창호스에 의해 진압해야 합니다. 

플래시오버가 발생하고 나면 공간 내 

내용물 화재에서 구조물 화재로 전환됨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건물 붕괴 위험의 전조현상임을 나타냅니다. 

연소 공간에서 플래시오버를 지연시키는 노력은 중요합니다. 

플래시 오버를 지연시키며 시간을 버는 

3가지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배연지연법은 

창문등을 개방하여 배연함으로써 

공간 내부에 쌇인 열을 방출시켜 플래시오버를 지연시킬 수 있으며 

가시성 또한 향상시킬수 있습니다.

 

 

-공기차단지연법은 

배연지연법과 반대로 개구부를 닫어 산소를 감소시킴으로써 

연소 속도를 줄여 지연 시킬 수 있다. 

이 방법은 관창호스 연결이 지연되거나 

모든 사람이 대피했다는 것이 확인된 경우 적합한 방법입니다.

 

 

-냉각지연법은 

분말소화기 등 이동식 소화기를 분사하여 

화재를 완전한  소화는 불가능 하나 

일시적으로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플래시오버를 지연시키고 

관창호스를 연결할 시간을 벌수 있습니다.

 

 

플래시오버의 대표적인 전조현상으로 

고온의 연기발생과 ROLLOVER 현상이 관찰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만약 자세를 낮춰야 할 정도로 고온의 농연이 있다면

 플래시오버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ROLLOVER 현상이 관찰된다면 

플래시오버의 전조임을 기억 해야 합니다. 

이들 전조현상 중 하나가 관찰되면 일단 방어적 수색을 시작해야 합니다.

 

출입구를 진입하여 화점 공간에 들어갈 때 요구조자를 찾기 위해

 출입문 뒤를 우선 살피고 

1.5M 이상 진입하지말고 바닥을 훑으며 

출입구 주변에 의식을 잃은 사람이 있는지 우선 확인한 후 

요구조자가 있는지 소리치고 응답을 듣습니다. 

만약 응답이 없다면 

출입문을 닫고 관창호스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화점 진압용 호스가 도착하면 호스를 따라 양 옆으로 검색구조 작업을 시행합니다. 

 

창문에 설치된 사다리를 이용할 때 

유리 하나가 깨졋다면 ROLLOVER의 조짐이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창문을 총해 진입해서는 안 되며 

몸을 웅크리고 도구를 이용하여 

창문턱 아래의 내부를 훑어보고

 만약 그곳에 요구자가 있다면 

낮은 자세로 그를 안전하게 끌어당겨 구조를 합니다. 

 

일반적으로 플래시오버가 발생한 공간에서는 수십 초 이상 생존할 가능성은 없습니다.

 

1960년 미국 캘리포나아 주정부에 의해 입증된 실험결과에 

따르면 소방관들이 플래시오버가 발생한 후 

문을 통해 탈출할 수 있는 거리는 1,5M 가 한계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 실험에서 137~160의 온도는 노출된 피부에 극심한 고통과 피해를 일으킵니다. 

 

플래시오버가 발생된 곳의 평균 온도는 537-815도 정도이며 

이 온도에서 방화복을 착용한 소방관이 버틸 수 있는 시간은 2초를 넘기지 못합니다. 

소방관의 1초당 탈출거리는 75CM이며 

따라서 탈출구에서 1.5M 이상 진입하는 것은 금지됩니다.

 만약 이와 같은 상황에서 3M 이상 진입하였다면 

탈출 소요시간은 4초이며 이 시간은 생존하기에는 너무 긴 시간입니다.

 

 

 

 

 

 

 

 

 

 

 

 

 

 

2018/12/08 - [소방] - 플래시오버를 알아보자.

2018/12/09 - [소방] - ROLLOVER 을 아시나요?

2018/12/08 - [소방] - 화재의 특수현상과 대처법 알고 있자!

2018/12/09 - [소방] - 백드래프트라고 들어보셨나요?

2018/12/09 - [소방] - 백드래프트의 대응전술

 

 

 

 

 

 

 

반응형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 자동화재탐지설비  (0) 2018.12.12
소방 경보설비종류  (0) 2018.12.11
ROLLOVER 을 아시나요?  (0) 2018.12.09
백드래프트의 대응전술  (0) 2018.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