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

전염병 홍역 증상 감염병 예방 및 치료

반응형

 


홍역이 어떤 질환인지 궁금하신가요??


홍역이란 감염병이 궁금하신가요..?

도대체 어떤 감염질환 이길래 이렇게

나라를 시끄럽게 하는걸까요?


홍역이란 말이죠...


국내 첫환자 18.12.17일날  발생 되었습니다.

영유아 뿐 만 아니라 의료종사자에서도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9*(1.10.기준)의 홍역환자 발생하여 

대구시 보건당국에서 역학조사 및 접촉자 관리 중에 있습니다.

계속 증가 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조심조심 해봅시다.


질병 관리 본부에서 말하는 대응방안은 무엇일까요?

홍역의 대응방안은!!

아주 간단합니다.

모두 쉽게 할수 있는 일 입니다.

이거 하나 만으로도 예방을 할수 있습니다.

미리미리 예방 해봅시다.


여행 중 감염예방을 위해 손씻기,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철저


최근 유럽, 중국, 태국, 필리핀 등에서 홍역이 유행함에 따라 발생 지역 여행 전에 홍역 예방백신* 접종

어린이 예방접종률 197.8%, 298.2% / 1(생후 12~15개월), 2(4~6)


홍역* 의심환자는 다른 사람과 접촉을 최소화 하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 안내에 따라 의료기관 방문 진료 및 보건

소에 신고

전염성이 매우 높은 감염병(2군 법정전염병)으로 발열 등 호흡기 감염질환



홍역 의심환자가 있는거 같다??

얼른 신고 하셔야 합니다

어떤 사람이 홍역 환자 인가요?

고열, 기침, 콧물, 발진 및 전신무력감 등 파악 해 봅니다.


전염을 막기 위해!!

우리 아이를 위해 나를위해!

간단하게

홍역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구 분

 내 용

 정 의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발진성 질환

잠복기

 •721(평균 1012

전염기

 •발진 4일 전부터 4일 후 까지

감염경로

 •호흡기 분비물 등의 비말 또는 공기감염을 통해 전파

 주요증상 및 

임상경과

 

전구기전염력이 강한 시기로, 3일 내지 5일간 지속되며 발열기침콧물결막염특징적인 구강내 병변(Koplik’s spot) 등이 나타남

발진기: 홍반성 구진성 발진이 목 뒤, 귀 아래에서 시작하여 몸통, 팔다리 순서로 퍼지고 손바닥과 발바닥에도 발생하며 서로 융합됨. 발진은 3일 이상 지속되고 발진이 나타난 후 2일 내지 3일간 고열을 보임

회복기: 발진이 사라지면서 색소 침착을 남김

연령, 백신 접종력, 수동 면역항체 보유여부에 따라 뚜렷한 전구증상 없이 발열과 가벼운 발진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진단기준

 (환자홍역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거나 역학적 연관성이 있으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인후·비강·비인두도찰물, 혈액, 소변)에서 바이러스 분리 또는 특이 유전자검출

(의사환자)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홍역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환자관리

 환자격리발진이 나타나기 4일 전부터 발진이 시작된 후 4일까지

* 표준주의, 공기주의

접촉자: 예방접종, 면역글로불린 투여

 치료

 •보존적 치료안정충분한 수분 공급기침고열에 대한 대증치료

 예방

 • 예방접종생후 1215개월만 46세에 MMR 백신 2회 접종



국내 외 홍역환자 발생 현황을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홍역 발생 현황


구분

환자수(명)

감염원구분 

국외유입*

국외유입연관**

불명***

 2014

442

21

407

14

 2015

7

3

1

3

2016

18

9

9

-

2017

7

3

-

4

2018(잠정)

20

5

5

7(3명 조사 중) 


* 국외에서 감염된 후 국내에서 확인된 경우

** 외유입사례에 의한 국내 2차 전파 또는 바이러스 유전자 분석결과 국외유입바이러스로 구분되는 사례

*** 국외유입 또는 국외유입연관으로 구분될 수 없는 사례



자료원: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털(www.cdc.go.kr/npt), 2018년 통계는 변동 가능한 잠정통계임

<!--[if !supportEmptyParas]--> <!--[endif]-->

국외 홍역 발생 현황

 

유럽지역 현황

(‘18.12.26일 기준): 그리스, 프랑스, 이탈리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등은 MMR 2차 접종률이 85% 이하로 낮고 환자발생 지속 중)

- (프랑스) ‘18.11.11일 기준, 2,727명 발생 보고(5.27일 이후 421명 추가)

* 1세 미만 어린이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고 불완전접종 또는 미접종자가 다수

* 유행이 활발한 지역: 오드프랑스, 브르타뉴, 상트르발드르아르, 노르망디

<!--[if !supportEmptyParas]--> <!--[endif]-->

- (이탈리아) ‘18.10.31일 기준, 2,552(사망 7) 발생 보고(4.30일 이후 1,110명 추가)

* 의료종사자 103명 포함

* 22%5세 미만이며 이 중 1세 미만이 85%이고 90.6%가 백신 미접종자

* 유행이 활발한 지역: 시칠리아, 라치오, 칼라브리아, 캄파니아, 롬바르디아


- (러시아) ‘18.11.31일 기준, 3,017명 발생 보고(4.30일 이후 1,868명 추가)

* 62%가 어린이로 확인되며 그 중 불완전 접종 및 미접종자가 91%

* 유행이 활발한 지역: 모스크바, 다게스탄, 체첸

<!--[if !supportEmptyParas]--> <!--[endif]-->

- (그리스) ‘18.12.6일 기준, 2,290(사망 2) 발생 보고(6.7일 이후 193명 추가)

* ‘17.5월부터 유행지속 중으로 12.6일까지 3,258(확진 1,885, 사망 4) 발생

* 환자의 대부분은 남부 그리스의 어린이 또는 성인에서 발생

 

- (우크라이나) ‘18.12.4일 기준, 44,386(사망 15) 보고(5.29일 이후 26,242명 추가

* 5세 미만의 어린이에서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백신접종률 176%, 277%

* 유행이 활발한 지역: 데르노빌, 자카르파츠카, 이바노-프랑키브스크, 오데사, 키예프

<!--[if !supportEmptyParas]--> 

- (이스라엘) ‘18.11.26일 기준, 2,040명 발생 보고(11.10일 이후 149명 추가)

* 유행이 활발한 지역: 예루살렘, 비이트 세메시, 세이프트




<유럽 국가별 홍역환자 발생현황

 <‘17년 유럽 국가별 백신접종 현황/1(왼쪽), 2(오른쪽)> * 출처: Surveillance Report,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아시아지역 현황


-‘17년 대비 환자발생이 증가한 상황으로 특히, 필리핀에서 유행이 지속되고 있으며 중국, 말레이시아 등에서 환자발생이 지속되고 있음



 국가 

 2017

 2018년 11월

 총환자수(명)  감염원  총환자수(명)  감염원
 국외유입* 국외**유입관련  자국

발생 
불명**   국외유입 국외유입관련   자국
내 
발생
 불명

 중국

 5,181

 0

0

 5,181

 3,358

1,725 

 말레이시아

 1,624

 5

 0

 1,056

 563

 1,531

 5

 0

 1,129

 397

 필리핀

 251

 0

 0

 43

 208

 3,058

 106

 0

 1,831

 1,121

 일본

 183

 34

 136

 0

 13

 236

 31

 171

 0

 34
 대만  5  5  0  0  0  40

 11

 0  0  0



해외유입외국에서 감염된 후 국내에서 확인된 경우, ** 해외유입연관해외유입사례에 의한 국내 2차 전파 또는 바이러스 유전자 분석결과 해외유입바이러스로 구분 되는 사례*** 불명해외유입 또는 해외유입연관으로 구분될 수 없는 사례
출처: Measles and rubella monthly country reports to WHO by 20 November 2018/CDC Taiwan
- 국가별 홍역발생 현황(‘17/’18.11월 기준)
 



홍역은 어떤 질병인가요?


홍역은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전염성이 매우 높습니다. 

홍역에 걸리면 초기에 감기처럼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고열과 함께 얼굴에서 시작해서 온 몸에 발진이 나타납니다.


홍역은 기침 또는 재치기를 통해 공기로 전파되며

홍역에 대한 면역이 불충분한 사람이 홍역 환자와 접촉하게 되면 90% 이상 홍역에 걸릴 수 있습니다.


홍역은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백신 2회 접종으로 효과적으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 구강 내 Koplik 반점>



                         

< 홍역 발진>


* 사진 출처: 미국질병관리본부(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f !supportEmptyParas]-->

 <!--[endif]-->



2. 홍역은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요?


대개는 특별한 치료 없이 대증 요법(안정, 수분 및 영양 공급)만으로도 호전 경과를 밟습니다

그러나 홍역으로 인한 합병증(중이염,폐렴, 설사· 구토로 인한 탈수 등)이 있는 경우 입원치료가 필요합니다.

<!--[if !supportEmptyParas]--> 

3. 홍역 의심환자는 반드시 격리해야 하나요?


홍역은 발진이 나타나고 4일까지 호흡기 격리가 필요한 질환으로

홍역 의심환자가 학교, 유치원, 학원 등 단체시설에서 발생한 경우 발견

즉시부터 발진 발생 후 4일까지 등교 중지가 권장됩니다.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41(감염병환자등의 관리)

<!--[if !supportEmptyParas]--> <!--[endif]-->

4. 과거에 홍역 예방접종을 받았어도 홍역에 감염될 수 있나요?


이전에 권장되는 접종 횟수(2)를 모두 접종 받았더라도 매우 드물게 홍역에 감염될 수 있지만 증상은 상대적으로 경미합니다.

MMR 백신 예방효과: 1회 접종 시 93%, 2회 접종 시 97% 예방

MMR 백신 권장 접종시기: 생후 12~15개월, 4~6세 각각 1회 접종

<!--[if !supportEmptyParas]--> <!--[endif]-->

5. 기존에 2회 접종을 완료한 경우에도 추가 예방접종이 필요한가요?


·유아 시기에 MMR 백신 2회 접종을 완료하였다면 더 이상 추가접종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면역의 증거*가 없는 성인의 경우, 적어도 MMR 백신 1회 접종이 필요하며

의료인, 해외여행 예정자라면 4주 이상의 간격으로 MMR 백신 2회 접종이 권장됩니다.

면역의 증거: 1967년 이전 출생자, 홍역 확진을 받은 경우, 홍역 항체가 확인된 경우, MMR 2회 접종력이 있는 경우

<!--[if !supportEmptyParas]--> <!--[endif]-->


유행지역 여행 대비 홍역백신 접종 안내 


연령, 과거 접종 횟수별 유행지역 여행 대비 홍역백신(MMR) 접종 기준


과거에 홍역을 앓았거나 홍역 항체가 양성인 경우 접종 불필요

MMR 2회 접종력이 있는 경우 접종 불필요

1967년 이전 출생자의 경우 접종 불필요

12세 이하 아동은 국가예방접종 사업에서 예방접종비용 지원 가능


<연령별 MMR 접종력에 따른 접종 기준>

연령

과거 MMR접종횟수

해외여행 대비

가속접종일정

향후 MMR 접종일정

0-5개월

없음

접종대상아님

권장 접종일정(생후 12-15개월, 4-6)에 따라 2회 접종

6-11개월

없음

1

1 세 전에 홍역 단독 또는 MMR 백신을 접종 받은 영아도 1215개월과 46세에 MMR 백신을 접종받아야 함

이 경우 총 3회 비용지원 가능

12개월 이상50

(1967년 이후 출생자)

<!--[if !supportEmptyParas]--> <!--[endif]-->

없음

2회 접종

(최소 4주 간격)

<!--[if !supportEmptyParas]--> <!--[endif]-->

2회 접종을 완료한 경우 향후 추가 접종 필요하지 않음

<!--[if !supportEmptyParas]--> <!--[endif]-->

1

1회 접종

(이전 접종과 최소 4주 간격)

2

필요없음


MMR: 홍역(Measles), 유행성이하선염(Mumps), 풍진(Rubella) 혼합백신

가속접종: 불가피하게 표준접종일정을 지키지 못할 상황에서 신속하게 면역을 획득해야 하는 경우 적용 가능하며, 이전 접종과 최소 접종간격은 4주임

* 홍역 예방접종력은 접종기관에서 예방접종 전산시스템에 등록한 경우 예방접종도우미 (https://nip.cdc.go.kr) 사이트를 통해 조회가능

* 임신 또는 면역저하 상태인 경우에는 생백신의 일시적인 금기사항임




마지막으로 제일 신경 써야할 부분입니다.

손씻기 하나로

홍역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감염성질병을 예방 할수 있습니다.

보고 따라하시면 됩니다.





올바른 손씻기 하나와

간단한 정보 하나만으로

홍역은 예방할수 있습니다.

다 같이 노력해 봐욤!


공감한번 부탁 드립니다.






반응형